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윤 대통령, 프로야구 개막전 시구… 역대 대통령 3번째

2023.04.01 14:39
윤석열 대통령이 2023시즌 프로야구 개막을 알리는 공을 던졌다. 대통령이 프로야구 개막전에서 시구를 한 것은 전두환,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윤 대통령은 1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삼성과 NC의 개막전에서 한국 야구대표팀 점퍼를 입고 시구를 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함께 그라운드에 등장했다. 장내 아나운서가 윤석열 대통령을 시구자로 소개했고, 관중은 박수로 윤 대통령을 맞이했다. 허구연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의 안내로 마운드 근처로 간 윤 대통령은 포수 미트를 향해 공을 정확하게 던졌다. 윤 대통령이 시구한 공은 부산 기장군에 건립될 야구 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프로야구 시구를 한 대통령은 전두환 김영삼 노무현 박근혜 문재인 전 대통령에 이어 윤 대통령까지 총 6명이다. 1982년 전두환 전 대통령이 동대문구장에서 열린 MBC와 삼성의 개막전에 처음 시구를 했다. 1994년에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잠실구장에서 펼쳐진 태평양과 LG의 한국시리즈 1차전 시구를 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5년 잠실 LG-삼성 개막전, 같은 해 잠실 롯데-OB의 한국시리즈 1차전에도 마운드에 올랐다. 2003년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전에서 열린 올스타전 시구를 던졌고, 2013년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잠실 삼성-두산의 한국시리즈 3차전 시구를 했다. 2017년 문재인 전 대통령은 광주 두산-KIA의 한국시리즈 1차전 시구를 맡았다.
대통령실은 31일 윤석열 대통령의 다음 달 미국 국빈 방문과 관련해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 공연은 대통령의 방미 행사 일정에 없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이 지목한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 공연'은 윤 대통령 방미를 계기로 추진됐던 한국 아이돌 그룹 블랙핑크와 미국 팝 가수 레이디 가가의 합동공연으로, 해당 공연은 최종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오후 30여 자의 짧은 언론 공지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앞서 미 백악관은 지난 1월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 때 합동공연을 제안했는데, 특히 바이든 대통령의 부인 질 바이든 여사가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그러면서 다음 달 말 바이든 대통령 부부 초청 국빈 만찬이나 뉴욕 카네기홀 등에서 공연을 개최하는 방안이 거론됐다. 그러나 김성한 전 국가안보실장 등 대통령실 외교안보라인이 미국 측 제안에 대해 최소 5차례 이상 답변을 하지 않았고, 윤 대통령은 이달 초 외교부 측을 통해 보고를 받은 뒤 양측 간 협의 재개를 지시했지만 진행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보름 동안 김일범 전 의전비서관과 이문희 전 외교비서관에 이어 외교안보 컨트롤타워인 김 전 실장도 지난 29일 자진 사퇴한 배경에는 해당 공연 등을 포함한 보고 누락과 소통 부재가 있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논란이 커졌다. 대통령실은 이에 함구하면서 입장 표명을 자제해 왔다. 그러나 "미국이 공연 비용을 우리에게 부담하라고 제안했다"는 언론 보도까지 나오자 공식 부인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여권 관계자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일정이 아닌데 비용 얘기까지 불거지는 건 상대국에 결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 누락에 따른 일정 조율이 뒤늦게 시작된 데다가 언론에 공개된 이후 외교적 부담이 커지자 공연을 하지 않는 쪽으로 매듭짓는 모양새다. 한편,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방일 기간 일본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제한 폐기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는 일본 보도에 대해서도 "후쿠시마산 수산물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일은 없다"는 방침을 거듭 밝혔다. 전날에도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정부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같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대통령실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서도 "윤 대통령은 정상회담 기간 중 일본 측 인사들과 만난 자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해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식,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검증, 그 과정에 한국 전문가가 참여해야 한다는 3가지 조건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